추석은 조상님께 감사드리고 가족이 함께 모여 정을 나누는 뜻깊은 명절이에요. 이때 진행하는 차례(茶禮)는 단순하게 음식만 올리는 자리가 아니라 조상님을 모시고 가문의 전통을 이어가는 중요한 의식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요즘 세대에게는 추석 차례 시재는 순서와 방법 그리고 그 의미가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추석 차례 지내는 순서와 방법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정리해 보도록 할게요.
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 간소화 음식 종류
추석은 조상님께 감사와 공경의 마음을 전하는 뜻깊은 명절이에요. 이때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차례상(茶禮床) 차리기이지만 세대가 바뀌면서 전통적인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잘 모르는 분들
2.gleam0807.com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에 자세하게 정리해뒀으니까 참고하시고요~
차례상 지방 양식 다운로드 (한자·한글)
차례상 지방 쓰는법 완벽 정리! 추석·설날 현고학생부군신위부터 조부모까지. 한자·한글 모두 가능, 규격 6Cmx22Cm. 부모님 지방 작성법 총정리
제사, 명절 차례상에 필요한 지방 양식
그리고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 양식 또한 포스팅에 따로 정리해뒀으니 참고하세요.
추석 차례 지내는 순서
추석 차례는 주로 명절 아침에 지내는데요~ 이른 아침인 오전 6시 ~ 7시 사이에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바로 아래에서 추석 차례 지내는 순서를 아주 자세하게 알려드릴 테니 참고해 보세요.
1. 강신(降神) : 조상님을 모시는 예
추석 차례 지내는 순서중 첫번째 절차는 강신이에요. 장남이 차례상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세 번의 향을 피우고 집사(차례를 도우는 사람)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장남이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부은 다음 장남 혼자서 절을 두 번 해요.
이는 조상님을 모셔오는 의식으로 술잔을 올려 조상님께 자리를 청하는 순서이자 후손들이 조상님 앞에 겸허히 서는 마음가짐을 상징하며 차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절차이기도 해요.
2. 참신( 參神 ) : 모든 후손이 절하는 시간
그렇게 장남이 먼저 두 번의 절을 하고 나면 가족 모두가 함께 두 번 절을 올려요. 이는 조상님 앞에 후손 모두가 예를 갖추는 절차로 가족이 함께 조상을 기린다는 의미를 갖고 있어요.
3. 헌주(獻酒) : 술잔을 올리는 의식
헌주는 술을 올리는 절차로 보통 세 단계로 나뉘지만 차례는 약식이므로 한 번만 술을 올리면 되는데요~ 장남이 상 위에 놓여있는 잔에 술을 따라요.
4. 삽시정저(揷匙正箸) : 숟가락과 젓가락 올림
조상님께서 음식을 드실 수 있도록 밥그릇에 숟가락을 꽂고, 반찬에 젓가락을 올리는 절차예요. 이는 후손이 정성껏 차린 음식을 조상님이 드시도록 모시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중간중간 젓가락을 다른 반찬에 올려줌)
5. 시립(侍立) : 조상님을 기다리는 시간
헌주와 삽시정저 후에는 잠시 조용히 서서 조상님께서 음식을 드신다고 생각하며 기다려요. 이를 통해 후손은 경건한 마음을 다지고, 조상님과 함께 한다는 의미를 되새기고요~
6. 사신(辭神) : 조상님을 전송하는 의식
조상님께서 충분히 음식을 드셨다고 여기고, 향을 세 번 피워(차례에는 생략) 조상님을 전송하는 절차예요. 수저를 거두고 뚜껑이 있는 그릇은 뚜껑을 덮은 뒤 후손들은 다 함께 두 번 절을 올리며 감사의 인사를 드려요.
7. 철상 및 음복 (撤床 飮福) : 상을 물리고 복을 나눔
마지막으로 차례상을 물리고 올렸던 음식을 가족들이 나누어 먹어요. 이를 음복(飮福)이라 하는데 조상님의 은혜와 복을 함께 나눈다는 의미가 담겨있어요. 음복은 단순한 식사가 아니라 차례의 완성을 의미하는 중요한 절차예요.
FAQ
Q1. 추석 차례는 꼭 전통 순서를 지켜야 하나요?
A1. 전통적으로는 지키는 것이 원칙이지만, 현대에는 가족 상황에 따라 일부 절차를 간소화하기도 합니다.
Q2. 참신과 강신은 꼭 구분해야 하나요?
A2. 전통 예법에서는 구분하지만, 일부 가정에서는 강신과 참신을 함께 진행하기도 합니다.
Q3. 헌주는 꼭 장남부터 해야 하나요?
A3. 전통적으로 장남이 초헌을 맡지만, 현대에는 가족 중 대표자가 할 수 있습니다.
Q4. 삽시정저를 생략해도 되나요?
A4. 생략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징적으로 숟가락을 올리는 의식은 의미가 깊어 가급적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Q5. 음복은 왜 중요한가요?
A5. 음복은 조상님의 복을 후손들이 함께 나눈다는 의미이며, 차례의 마지막 절차입니다.
마무리
추석 차례 지내는 순서와 방법, 의미에 대해 정리해 봤어요. 추석 차례는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조상님께 감사드리고, 가족이 하나로 모이는 전통인데요~ 절차를 완벽히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정성과 마음인 것 같아요. 이번 추석에는 올바를 절차와 의미를 이해하고, 마음을 담아 차례를 지내며 가족과 뜻깊은 시간을 보냈으면 좋겠어요.
우리동네 공휴일 문여는 약국 찾는 방법
공휴일이나 주말, 갑작스럽게 약이 필요할 때 주변에서 문을 연 약국을 찾는 것이 쉽지 않아요. 특히 어린 자녀가 갑자기 아프거나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더 급박해지곤 하는데요~ 다행히도 정부
2.gleam0807.com
댓글